* 해당 명칭을 클릭 하시면 더 자세히 보실수 있습니다.
묘광형태는 말각방형으로 관을 둘러싸는 석곽 평면형태는 장방형이다. 석곽내부는 육각형의 구조로 활석을 사용하여 축조하였으며 바닥은 잡석을 깔았다. 묘실의 규모는 길이240㎝, 너비 96㎝, 높이78㎝이다. 백제문화단지내 화계조성부지에서 발굴되어 이전복원 하였다.
석실의 구조가 완전한 형태로 묘광은 장방형 평면으로 연도부, 묘도, 배수구로 이루어져 있다. 석실 내부는 육각형의 구조이며 천정 덮개석은 대형판석 3매를 사용하였다. 묘실은 화강석 판석을 사용하였으며 규모는 길이는 248㎝, 너비는 82㎝, 높이는 110㎝이다. 백제문화단지내 화계조성부지에서 발굴되어 이전복원 하였다.
묘광 평면형태는 장방형으로 연도부와 묘도, 배수구로 이루어진다. 석실 내부는 육각형의 구조로 천정 덮개석은 판석 6매를 이용하였다. 잘 다듬은 판석을 사용하였으며 묘실의 길이는 260㎝, 너비120㎝, 높이 88㎝이다. 백제문화단지내 화계조성부지에서 발굴되어 이전복원 하였다.
묘광의 평면형태는 장방형이고 연도부와 묘도, 배수구로 이루어져있다. 석실내부는 육각형의 구조로 덮개석은 대형판석 3매를 사용하였을 것으로 추정하나 발굴당시 2매의 덮개석이 발굴되었다. 잘 다듬은 판석을 사용하여 축조하였다. 묘실의 길이는 278㎝, 너비 768㎝, 높이100㎝이다. 백제문화단지내 화계조성부지에서 발굴되어 이전복원 하였다.
묘광은 말각장방형의 형태이며 석실 내부는 육각형구조로 덮개석은 대형판석 3매를 사용하였을 것으로 추정하나 발굴당시 2매의 덮개석이 발굴되었다. 잘 다듬은 화강석 판석을 사용하여 축조하였다. 묘실의 길이는 250㎝, 너비 124㎝, 높이142㎝이다. 부여군 은산면 가중리 도로공사에서 발굴되어 이곳으로 이전 복원하였다.
묘광은 말각장방형의 형태이며 석실 내부는 육각형구조로 덮개석은 내면을 치석한 장방형 판석 4매를 정연하게 맞추어 덮었다. 바닥 및 벽석은 잘 다듬은 화강석 판석을 사용하여 축조하였다. 묘실의 길이는 248㎝, 너비 120㎝, 높이142㎝이다. 부여군 은산면 가중리 도로공사에서 발굴되어 이곳으로 이전 복원하였다.
묘광은 말각장방형의 형태이며 석실 내부는 육각형구조로 덮개석은 내면을 치석한 장방형 판석 4매를 정연하게 맞추어 덮었다. 벽석은 잘 다듬은 판석을 이용하였으며 바닥은 크기가 다른 판석을 박석하였다. 묘실의 길이는 248㎝, 너비가 85cm이고, 높이는 95cm이다. 부여군 은산면 가중리 도로공사에서 발굴되어 이곳으로 이전 복원하였다.
이미지 미리보기 | ||